-
소독용 알코올 (1) : 살균효과와 주의할점dentist) 본과생 라이프 2020. 3. 6. 20:21
이번에는 소독용 알코올의 살균효과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!
알코올과 에탄올이 같은거라고요?
에탄올은 알코올의 종류입니다
- 알코올 : 수산기(-0H) 구조를 갖는 유기화합물, 크게 3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.
- 유기화합물 (탄소로 구성된 물질)
- 수산기 구조 (-OH)를 가짐
- 탄소수와 구조에 따라 (1) 에탄올 (2) 메탄올 (3) 아이소 프로필알코올로 나눔
- 에탄올
- 알코올에 속함
- 탄소 2개 + 수산기구조 (-OH)
- 특유의 향과 맛이 남
- 휘발성이 강함
- 단백질을 변성시키는 성질을 가져 소독에 쓰임
아래 사진 모두 -OH 구조를 가진 알코올이나 탄소(C)의 개수와 형태에 따라 이름이 달라집니다
알코올 소독제(에탄올)가 가진 장점
무취와 쉬운 증발
그렇다면 에탄올을 제외한 다른 알코올은 어떨까요?
- 메탄올
-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알코올 램프속 알코올
- 몸에 흡수되면 포름알데하이드라는 유독성 물질로 변해 독성이 강하다
- 눈을 멀게하거나 목숨을 앗아갈 수 있다
- 프로탄올
- 소독작용은 있다
- 조직을 부식시키는 작용이 강해 소독 시 통증을 유발한다
- 부탄올
- 냄새가 고약하다
- 휘발성이 약하다
이러한 단점들로 인해 소독제로는 에탄올을 사용합니다
술은 살균효과가 있을까?
보통 술은 알코올 농도가 낮기 때문에
소독용으로 의미가 없다
농도 40%를 넘겨야 소독효과가 있습니다.
단, 알코올 100%로는 소독 효과가 없습니다. 병원에서 쓰는 알코올 소독액은 농도 70~75%로 희석된 액. 나머지 성분은 물입니다.
- 효과 있음 : 바카디151(75.5도), 스피리터스(96도) 같은 것을 도수를 조절해서 쓰기!.....96도....
- 도수가 낮은 일본주나 소주 : 감염위험
도수가 낮은 일본주나 소주는 술에 포함된 당분으로 인해 세균에게 영양분만 공급해줘서 감염만 조장하는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소독에 쓰면 안 된다고 합니다.
알코올 농도 100% vs 알코올 농도 70% : 살균효과는 누가 더 클까?
알코올 농도 70%의 살균효과가 가장 크다
이는 알코올의 살균 원리에 의해 벌어지는 차이이다.
소독을 위해 사용하는 알코올은 에탄올입니다.
- 세균 표면의 막을 뚫기
- 이후 세균의 단백질을 응고시켜 죽임
1) 세포막은 2중층으로 되어있는데 밖 쪽(동그라미)은 친수성으로 물과 섞이고, 안쪽(꼬불꼬불)은 친지성으로 서로 뭉쳐 존재합니다.
2) 알코올은 이 지질층에 침투하여 세포막을 유리시킵니다.
- 그렇다면 100% 에탄올은 왜 소독효과가 없나?
100% 에탄올은 단백질을 응고시키는 능력이 너무 탁월합니다.
그렇기에 세균 표면의 단백질을 한꺼번에 응고시켜 단단한 막을 만드는데요.
이 때문에 오히려 에탄올이 세균 내부의 단백질까지 침투하지 못하게 됩니다.
알코올 70% 정도의 농도면 세포를 굳히는 속도가 느려져서 세균의 세포 안쪽까지 침투할 수 있게 되어 가장 살균효과가 높습니다.
에탄올 사용 시 주의할 점
피부 보호막 상실로 인한 피부 트러블과 피부 자극
에탄올 사용 시 손을 닦고, 보습을 해주면 좋다!
- 단, 상처 소독에는 에탄올을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!
- 알코올은 자극성이 강하기 때문에 상처 소독 대신 도구 소독에 쓰이는 게 낫습니다.
- 상처/속살/점막 등 민감한 부분에 에탄올이 닿으면 자극 때문에 꽤나 아프기 때문입니다.
- 참고) 이때는 자극성이 적은 포비돈 요오드나 과산화수소수를 쓰든지, 아니면 차라리 흐르는 깨끗한 물로 오래 씻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합니다.
소독용 알코올에 효과가 없는 세균, 바이러스가 있나요?
세균의 아포
노로바이러스(농도 95% 이상에서 효과 있음)
- 세균의 아포
- 일반세균은 모두 세포막을 가지기 때문에 알코올에 의해 사멸될 수 있습니다.
- 다만 세균의 아포는 세균의 휴지기 상태로 호전되기를 기다리다가 환경이 좋아지면 다시 영양형으로 돌아가서 증식을 재개합니다. 이러한 상태일 때는 소독용 알코올에 의한 소독효과가 없습니다.
- enveloped virus : 대체로 소독 효과 있음
enveloped 란 바이러스가 외막에 의해 감싸져 있다는 겁니다. 이런 바이러스의 경우 알코올에 의해 소독이 잘 됩니다.
- 인플루엔자 바이러스
- 코로나바이러스 (사스, 메르스)
- non-enveloped virus : 효과가 없음
- 눈병 바이러스
- 수족구 바이러스
- 감기 바이러스(아데노바이러스)
- A형 간염 바이러스
여기까지 알코올의 소독효과(1)를 마무리입니다.
저도 단순히 알코올이 소독효과만 있는 줄 알았지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모르고 있었네요. 앞으로는 당연하더라도 한 번씩 찾아서 공부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손세정제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 게시물에서 이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^^
출처
한겨레 KISTI의 과학향기
나무위키
BRIC 동향 [바이오 토픽] 그것을 알려주마: 손세정제는 정말 99.99%의 세균을 죽일까?
서울신문 [유용하 기자의 사이언 스톡] 손 안의 세균 잡는 손세정제 효과 있을까
'dentist) 본과생 라이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이토카인 폭풍과 급성호흡곤란증후군 관련성 (0) 2020.03.31 코로나 치료제 개발 현재상황 (SARS-CoV-2 treatment, 2020.03.25) (0) 2020.03.24 손 세정제와 손 소독제 : 누가 더 쎌까? (0) 2020.03.06 덴탈마스크 성능과 효과 (vs KF94) (3) 2020.03.04